드론작전사령부(이하 드론사)가 출범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총 20건의 드론 추락 및 고장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춘천·철원·화천·양구갑/국회 국방위원회)이 드론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중 4건은 비행 중 추락으로 인해 드론이 완전히 파손된 것으로 드러났다.
드론사는 지난 2022년 12월,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사건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2023년 9월 1일 창설되었다.
당시 윤 대통령은 전 정부의 드론 대응 전력 구축 미비를 지적하며 드론부대 창설을 서둘렀다. 그러나 드론사의 지위와 역할이 초기부터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드론사는 현재 단일 기종인 소형 정찰 드론만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는 "작전사령부"라는 명칭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욱이, 기기의 품질 문제도 심각하다. 엔진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10건이나 발생했고, 올해만 9건이 보고되었다. 그 외에도 착륙 중 돌풍으로 인한 파손 사례 6건이 추가되었다.
이 소형 정찰 드론의 대당 가격은 약 3천만 원에 달하며, 1년 동안 발생한 다수의 고장은 향후 드론 추가 장비 확보에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자 불만에 대한 별도의 보고서는 작성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드론사의 소형 드론 장비 확보를 위해 약 85억 원이 배정되었다.
허영 의원은 "드론작전사령부가 미래 전장의 '게임체인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더욱 부단한 노력과 혁신이 필요하다"며 드론사의 발전을 촉구했다.
드론사의 향후 과제는 기기의 안정성과 다양성 확보뿐만 아니라, 군용 드론의 통합 운용 체계 마련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각 군에서 운용 중인 드론의 제조사 및 기종이 상이하며, 교육 및 정비 체계도 통일되지 않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드론사가 ‘드론 컨트롤 타워’로서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체계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미래 군사작전의 큰 변화를 이끌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보인다.
강원종합뉴스 발행·편집인 손기택 기자
www.kwtotalnews.kr
|